안녕하세요 Daily Life 입니다.
사람에게는 3대 욕구라는 것이 존재하는 데요. 그중에 수면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면은 사람에게 있어 보약이라고 말합니다. 그 이유는 수면시간은 우리 몸 안에 있는 다양한 기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인데요. 그렇다면 수면시간이 우리 몸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수면시간이 우리에게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했을 경우
수면시간은 우리에게 아주 중요하지만 많은 현대인들이 등한시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데요. 현대인들의 경우 학업, 취업, 근무 시간, 취미 활동 등으로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충분한 수면시간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 우리 몸은 기억력 감토,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수시로 졸음이 쏟아지기 때문에 제대로 된 활동을 하지 못하는 일이 생깁니다.
수면시간의 중요성
사람은 하루 중 3분의 1을 수면으로 보내는 데요. 다음날 정상적인 활동을 위해서는 적절한 수면시간이 중요합니다. 서인 평균 적정 수면시간의 경우 7 ~ 8시간으로 알려져 있는 데요. 수면시간만 지켜도 우리는 집중력 강화,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비만이나 당뇨 등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고 면역력 강화에도 도움을 줍니다. 이처럼 단지 적절한 수면시간만으로도 우리 몸을 건강해지며 피로감을 덜 느끼고 다음날 개운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수면의 5가지 역할
첫 번째, 신체 회복
우리의 뇌와 몸은 우리가 움직이거나 음식을 먹을 때, 심지어 잠을 잘 때에도 활동을 하는 데요. 언뜻 보면 계속 활동을 하기 때문에 수면시간과는 연관이 없어 보이지만, 유일하게 뇌와 몸이 휴식을 취하는 시간을 잠을 잘 때입니다. 우리가 충분한 휴식시간을 주지 않을 경우 몸에 이상증세가 나타나게 되는 데요. 흔히 팔과 다리 저림이나 기억 감퇴,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있는 데요. 이런 증상들은 일상생활에 있어 문제가 되기 때문에 충분한 수면으로 신체를 회복시켜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는 데 있어 지장이 없게 합니다.
두 번째, 정보처리 기능
뇌의 해마는 학습, 기억, 새로운 것을 인식하는 역할을 하는 데요. 잠을 통해 이런 정보들을 체계화시키고 저장하는 작업을 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공부를 했다면 충분한 수면을 통해 해마는 이 같은 정보를 더욱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도와주는 데요. 보통 7시간 이상 수면사간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정신건강을 담당
사람은 새벽시간에 감성적으로 변한다고 합니다. 이는 호르몬의 분비 때문인데요. 수면시간이 부족할 경우 우리 몸의 호르몬 분비에 이상이 생기고 쉽게 예민해지거나 우울해지는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은 충분한 수면만으로도 행복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네 번째, 노폐물 관리
뇌에는 뇌실이라는 물주머니가 있는 데요. 안쪽과 바깥쪽 사이사이에 물, 뇌척수액이 있습니다. 우리가 수면 중일 때에 뇌척수액은 뇌를 씻어내어 정화시켜 주는 작업을 하는 데, 이는 뇌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뇌와 몸의 휴식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다섯 번째, 항상성 유지
충분한 수면시간은 호르몬 분비가 일정해지고 이는 면역체계를 강화시켜 주는 데요. 우리 몸은 뇌는 물론이고 눈, 콩팥, 소화기관 등 휴식이 필요한 기관이 있습니다. 수면 중에는 호르몬들의 향상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충분한 수면시간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수면의 단계
수면은 총 다섯 단계를 거치며 진행됩니다. 우리는 이것을 ‘수면의 단계’라고 하는데요. 얕은 수면에, 가벼운 수면, 깊은 수면, 서파 수면, 렘수면 순으로 진행됩니다. 우리는 잠을 자는 동안 수면의 단계를 3~4번 반복하게 되는 데요. 이때 우리는 잠을 깊게 자야 뇌를 포함하여 우리 몸의 모든 장기가 피로를 해소하고 체내에 유입된 유해 물질 및 손상 세포를 없애고 복구합니다.
어떻게 수면의 질을 높이는가?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본'에 충실해야 합니다. 잠을 많이 잔다고 해서 좋은 것만은 아닌데요. 수면의 부족도 문제이지만 수면시간이 너무 많은 경우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개인차는 있을 수 있으나 과다 수면의 경우 치매, 심장 질환, 우울증 등의 발병 위험이 있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있는 데요. 성인 적정 수면시간은 7 ~ 8시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수면의 질은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요. 그것은 수면 습관의 개선이 중요합니다. 우선 규칙적인 생활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주간에 피곤함을 느끼고 낮잠을 자는 것은 좋으나 너무 오랜 시간 수면을 취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낮잠의 시간은 10 ~ 15분 정도가 적당하며 평소 카페인을 피하고 잠들기 세 시간 전에는 흡연과 음식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수면 환경이 인공조명이나 빛에 노출되지 않는 어두운 곳이 좋으며 기상 시간도 중요한데요. 평일, 주말 등 일어나는 시간이 일정한 것이 좋으며 늦게 자는 날이 있더라도 기상 시간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며, 수면시간의 질을 높이기 위해 침대, 베개, 소리에 신경 쓰시는 분들이 많이 있으나 기본적인 부분에 대해 놓치는 분들이 많습니다. 수면의 질을 높이는 규칙적인 생활, 규칙적인 수면패턴 등이 가장 좋고 어두운 환경으로 우리 몸에게 수면 시간임을 확실히 인지 시켜주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오늘의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건강 상태 체크방법, 반려견 건강체크 3가지 (0) | 2023.08.09 |
---|---|
카카오페이지, 판타지 소설 추천 BEST10! 1탄 [ 2023년 8월 ] (1) | 2023.08.09 |
강아지 치석 제거하는 방법, 입냄새 제거 및 예방법 (0) | 2023.08.08 |
여름철 더위 해결! 시원한 음식 추천 BEST10 (1) | 2023.08.07 |
땀이 많이 나는 이유 5가지, 땀에 관한 질병 (0) | 2023.08.07 |